스노우플레이크가 소프트웨어 기업 상장, IPO 역사상 가장 큰 규모를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수익도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
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공모주에 참가하면서 하루만에 1조원 가까운 수익을 올렸는데요, 스노우플레이크 창립 때부터 관여한 한 남자는 14조원 정도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
화제의 인물은 스노우플레이크의 전 CEO이자 최대 주주인 서터힐벤처스(Sutter Hill Ventures)를 이끄는 마이크 스파이저입니다.
서터힐벤처스는 현재 스노우플레이크의 20.3%의 지분을 보유 중으로 현재 가치가 14조원 정도인데, 초기 투자자로서 약 2300억 정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
2300억원이 14조원이 되었으니 6000% 상승이 넘겠네요.
상장을 통해 이 정도 규모의 투자 수익을 얻은 경우는 없었는데요. 과거 엑셀(Accel)이 페이스북 상장으로 얻은 수익인 77억달러(약 9조원)를 넘어선 상태입니다.
가장 큰 수익을 낸 마이크 스파이저는 단순 투자자만은 아니었습니다.
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스노우플레이크에서 최고경영자(CEO)와 최고재무관리자(CFO) 역할을 병행하며 회사 창립 당시부터 큰 기여를 했습니다.
지난해 소프트웨어 기업 서비스나우(ServiceNow)에서 프랭크 슬루트만 CEO를 영입해 온 것도 스파이저였습니다.
이처럼 스파이저는 가능성있는 회사를 인큐베이팅해서 궤도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일을 해 왔습니다.
-
초기 창업에 관여를 하지만 꼭 CEO가 되려고 하지 않는다.
-
일주일에 이틀만 일한다.
-
최고의 CEO를 데려오고 자신은 뒤로 빠진다.
-
이상적인 고객 프로필을 정의하고 최초의 의미있는 세일즈를 이룬다.
-
초기 필요한 씨드머니를 구하고 펀드레이징을 지속적으로 돕는다.
-
키 포지션에 해당하는 중요 인물을 구한다.
-
인큐베이션 그 자체에 집중하며 지속적인 펀딩 라운드를 통해 미래 가치에 집중한다.
초기 기술 기반으로 창업하는 회사에서 꼭 필요로 하는 일들인데 스파이저는 너무나도 뛰어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
이번 스노우플레이크의 IPO까지 진행되어 14조원의 수익을 올린 스파이저이지만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회사들을 발굴하고 있습니다.
아래 보이는 포트폴리오 중에서 스노우플레이크가 보이네요.
수 많은 회사들이 실패를 하지만 이렇게 하나의 회사가 제대로 터지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의 보상을 받으니 일하는 맛이 나겠죠.
부럽습니다.
'미국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의 미국 증시 현황 (2025년 2월 7일) (1) | 2025.02.08 |
---|---|
상반기, 미국의 헤지펀드가 제일 사랑한 주식은? (0) | 2020.10.06 |
트럼프 코로나 확진 판정, 미국 증시에 영향은? (0) | 2020.10.02 |
항공주를 다 팔았던 워렌 버핏의 투자 철학 (0) | 2020.10.02 |
바이든이 대통령이 되면 미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? (0) | 2020.10.01 |